맨위로가기

세이부 사야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부 사야마선은 세이부 철도의 철도 노선으로, 1929년 무사시노 철도 야마구치 선으로 개통했다. 1951년 사야마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니시토코로자와역과 세이부 구장앞역을 잇는다. 이케부쿠로선과 직결 운행하며, 프로 야구 경기나 이벤트 개최 시에는 도쿄 메트로, 도큐 등의 차량도 투입된다. 열차는 101계를 기본으로 사용하며, 이벤트 시에는 10000계, 4000계 등 다양한 차량이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이부 사야마선 - 시모야마구치역
    시모야마구치역은 세이부 철도 사야마 선의 역으로, 1929년에 개업하여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니시토코로자와역과 세이부 구장앞역 사이에 위치하고, 역 주변은 주택가로 쓰바키미네 뉴타운, 도코로자와 시립 도서관 등이 있다.
  • 세이부 사야마선 - 세이부큐조마에역
    세이부큐조마에역은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에 위치한 세이부 철도 역으로, 사야마 선과 야마구치 선이 지나며 세이부 돔과 인접하여 야구 경기나 이벤트 시 이용객이 많고, 무라야마 공원역으로 개업 후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승하차 인원은 세이부 돔의 경기 및 이벤트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 세이부 철도의 철도 노선 - 세이부 다마가와선
    세이부 다마가와선은 도쿄도 무사시노시의 무사시사카이역과 후추시의 고레마사역을 연결하는 8.0km 길이의 세이부 철도 노선으로, 1917년 다마 철도로 개통되어 다마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 신 101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 세이부 철도의 철도 노선 - 세이부 도시마선
    세이부 도시마선은 세이부 철도가 운영하며 네리마역과 도시마엔역을 잇는 1.0km의 철도 노선으로, 이케부쿠로 선과 직결 운행하는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된다.
  • 세이부 철도의 철도 노선 - 세이부 다마가와선
    세이부 다마가와선은 도쿄도 무사시노시의 무사시사카이역과 후추시의 고레마사역을 연결하는 8.0km 길이의 세이부 철도 노선으로, 1917년 다마 철도로 개통되어 다마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 신 101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 세이부 철도의 철도 노선 - 세이부 도시마선
    세이부 도시마선은 세이부 철도가 운영하며 네리마역과 도시마엔역을 잇는 1.0km의 철도 노선으로, 이케부쿠로 선과 직결 운행하는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된다.
세이부 사야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2010년 7월 [[세이부 구장앞 역]]에 정차 중인 3000계 전동차
2010년 7월 세이부 구장앞 역에 정차 중인 3000계 전동차
노선 이름세이부 사야마 선
원래 이름西武狭山線
로마자 표기Seibu Sayama-sen
노선 종류통근 열차
노선 상태운영 중
지역사이타마현
기점니시토코로자와 역
종점세이부 구장앞 역
역 수3개
개업1929년
소유자세이부 철도
운영자세이부 철도
노선 길이4.2 km
궤간1,067 mm
전철화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최고 속도95 km/h
운행 정보
노선 색상FF8C00
기술 정보
선로 수단선
최소 곡선 반지름160 m
최대 경사34.0 ‰
사용 차량
사용 차량신 2000계

2. 역사

1929년 5월 1일 : 무사시노 철도 '''야마구치 선'''이 개통되었다.(니시토코로자와 역 - 무라야마 공원역(지금의 세이부 구장앞 역) 사이 4.8km 구간, 직류 1200V).[1]

1944년 2월 28일 : 운행이 중단되었다.

1951년 10월 7일 : 노선명을 '''사야마 선'''으로 변경하고, 기관차로 운행하였다.

1952년 3월 21일 : 직류 1500V로 전철화하여 운행을 재개하였다.[1] 처음에는 1,200 V DC로 전철화되었으나, 1952년에 1,500 V DC로 승압되었다.

1933년 3월 1일 : 가미야마구치역을 야마구치 저수지역으로, 무라야마 공원역을 무라야마 저수지 옆역으로 개칭하였다.

1941년 4월 1일 : 야마구치 저수지역을 가미야마구치역으로, 무라야마 저수지 옆역을 무라야마역으로 개칭하였다.

1951년 : 니시토코자와 - 사야마 호수 간 재개하면서 '''사야마선'''으로 개칭하였다. 사야마 호수역 이전 (-0.3km)했다.

1954년 10월 10일 : 휴지 중인 시모야마구치역과 가미야마구치역을 폐지하였다.

1976년 6월 4일 : 시모야마구치역 재개업했다.

1978년 11월 30일 : 사야마 호수역 이전 (-0.3km)했다.

1979년 3월 25일 : 사야마 호수역을 세이부 구장앞 역으로 개칭하였다.

2010년 3월 6일 :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으로 직통하는 정기 열차 설정. 낮 시간대 운전 간격이 20분에서 15분으로 고빈도화되었다.

2022년 3월 12일 : 낮 시간대 운전 간격이 15분에서 20분으로 환원되었다.

이 노선은 현재 세이부 철도의 전신인 '''무사시노 철도'''에 의해 1929년에 개통되었다. 전시에 불요불급선으로 휴지되었지만, 전후인 1951년에 부활했다.

1978년에는 종착역인 사야마 호수역(현: 세이부 구장 앞역) 부근에 존재했던 "세이부엔 구장"이 일본 프로 야구·세이부 라이온즈의 본거지가 되는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현: 벨루나 돔)으로 신설에 가깝게 리뉴얼되면서, 해당 구장으로의 접근 노선으로서 대대적인 개량이 실시되었다.

2012 회계 연도 중 모든 세이부 철도 노선에 역 번호가 도입되었으며, 세이부 사야마선 역에는 "SI" 문자가 접두사로 붙었다(세이부 이케부쿠로 노선 그룹의 일부).[3]

2. 1. 폐역

가미야마구치 역은 시모야마구치 역과 세이부 구장앞 역 사이에 있었던 역으로, 1954년 폐역되었다.

3. 운행 형태

평상시에는 니시토코로자와 역에서 세이부 구장앞 역까지 101계로 4량 편성하여 운행을 하지만, 프로야구 시즌 중에 세이부 구장에서 경기가 있거나, 여러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는 이케부쿠로 선의 이케부쿠로역이나,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의 신키바역이나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의 요코하마역, 또는 신주쿠 선의 세이부 신주쿠 역이나 혼카와고에 역에서 직결 운행을 한다.[2] 지하철 구간에서 직결운행을 할 때는 세이부 철도 소속 차량뿐만 아니라 도쿄 메트로 및 도큐 소속 차량도 투입된다.[18]

2009년 7월 2일에 세이부 돔에서 열린 세이부 대 롯데전에서는 경기 시간이 5시간 42분[14][15]에 달했기 때문에, 경기 종료 전에 그날의 최종 열차의 발차 시각을 넘겼다. 그래서 세이부 철도 측은 급히 니시토코자와행 임시 열차 3편을 운행했지만, 이케부쿠로 방면으로의 연결이 없었던 탓에 모든 관객이 귀가할 수 없었고, 다음 날 아침 시발 열차까지 현지 부근에서 밤을 지샌 팬도 있었다.

이케부쿠로역 발착으로 각역정차를 시작으로 준급(평일 나이트, 하행선만)·쾌속 외에 1998년 3월 26일부터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신키바역 발착, 2013년 3월 16일부터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주카가이역 발착으로 도큐 도요코선·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을 경유하여 운행되고 있다.[16] 경기 종료 후에도 이케부쿠로행 외 유라쿠초선·후쿠토신선 직통 열차가 몇 편 운행된다. 야구 개최 시에는 임시 특급 「돔(Dome)」이 1왕복 운행되는 외에 콘서트 등의 이벤트 개최 시에도 임시 열차나 단체 전용 열차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케부쿠로 발 직통 열차는 대부분이 각역정차 호야행, 준급이나 쾌속은 토코로자와행, 신키바 발 직통 열차는 토코로자와행을 각각 세이부 큐조마에행으로 연장 운행하는 형태로 운행되고 있다.[17] 또한, 평일 나이트의 쾌속 한노행은 세이부 큐조마에행으로 변경하여, 토코로자와 발로 한노행의 구간 열차에 연결한다. 2013년 3월 16일 개정으로 새롭게 도요코선·후쿠토신선에서 모토마치·주카가이 발 쾌속급행 고테사시행이 설정되었다. 이것은 행선지를 세이부 큐조마에행으로 변경한 후에 세이부선 내를 쾌속으로 운전하고, 히바리가오카역에서 동역 시발의 임시 쾌속급행 고테사시행에 연결하고 있다. 2019년 3월 16일2020년 3월 14일의 개정을 걸쳐서 연결역이 변경되었다.

운전될 때에는,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 승객의 편의를 위해, 많은 편이 10량 편성(일부는 8량 편성)의 열차를 사용한다.

2001년 12월 15일의 다이어 개정까지 쾌속은 시모야마구치역을 통과하고 있었다.

2001년 12월 15일의 다이어 개정 이전에는 패턴 수송을 하고 있었으나[19], 이후에는 미리 야구 개최 시만 운전하는 임시 열차를 설정하고, 그것으로 대처하고 있었다[20].2010년 3월 6일의 다이어 개정에 의해, 경기 종료 시각에 맞춰 임시 전차를 운전하는 방식이 8년 3개월 만에 부활하게 되어, 이케부쿠로행에 대해서는, 임시 열차로서는 최초의 급행이 운전되었다.

현재에는 임시 열차에는 「경기 종료 시각에 관계없이 운전되는 열차」와 「경기 종료 시각에 맞춰 운전되는 열차」의 2종류가 있다.

토·휴일 주간 경기 개최 중에는, 이케부쿠로선 직통 열차의 일부를 혼카와고에 발착으로 사용하는 신주쿠선 소속 차량의 간격 운행으로 운행하고 있다.

2022년 3월 현재는 혼카와고에역 - 세이부큐조마에역 간 1왕복으로, 각역 정차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세이부신주쿠역 방면에서도 임시 열차를 운행했지만, 2022년 3월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8년 3월 9일까지 토·휴일 나이트 경기에 운행되는 세이부신주쿠역 행 열차는 준급이었지만, 2018년 3월 10일 시간표 개정부터 급행으로 격상되었다[21]

과거에는 세이부신주쿠발 준급 타나시행의 연장 운행이나 쾌속 급행, 카미샤쿠지이행의 각역 정차 운행을 실시했다. 1980년 3월 17일 개정호인 『세이부 시간표』 제2호에 게재된 시간표에 따르면, 카미샤쿠지이행 각역 정차를 포함한 신주쿠선 직통 열차는 모두 시모야마구치역을 통과했다.

2007년 3월 5일 이전에는 세이부신주쿠역 발착이 2왕복 설정되었지만, 다음 날 6일 시간표 개정 이후에는 1왕복이 상기 혼카와고에역 발착 열차로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6일 시간표 개정 이후에는, 경기 종료 시 신주쿠선으로의 직통 열차는 패턴 수송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3. 1. 이벤트 개최 시 운행

평상시에는 니시토코로자와 역에서 세이부 구장앞 역까지 101계로 4량 편성하여 운행을 하지만, 프로야구 시즌 중에 세이부 구장에서 경기가 있거나, 여러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는 이케부쿠로 선의 이케부쿠로역이나,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의 신키바역이나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의 요코하마역, 또는 신주쿠 선의 세이부 신주쿠 역이나 혼카와고에 역에서 직결 운행을 한다.[2] 지하철 구간에서 직결운행을 할 때는 세이부 철도 소속 차량뿐만 아니라 도쿄 메트로 및 도큐 소속 차량도 투입된다.[18]

2009년 7월 2일에 세이부 돔에서 열린 세이부 대 롯데전에서는 경기 시간이 5시간 42분[14][15]에 달했기 때문에, 경기 종료 전에 그날의 최종 열차의 발차 시각을 넘겼다. 그래서 세이부 철도 측은 급히 니시토코자와행 임시 열차 3편을 운행했지만, 이케부쿠로 방면으로의 연결이 없었던 탓에 모든 관객이 귀가할 수 없었고, 다음 날 아침 시발 열차까지 현지 부근에서 밤을 지샌 팬도 있었다.

이케부쿠로역 발착으로 각역정차를 시작으로 준급(평일 나이트, 하행선만)·쾌속 외에 1998년3월 26일부터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신키바역 발착, 2013년3월 16일부터 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이역 발착으로 도큐 도요코선·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을 경유하여 운행되고 있다.[16] 경기 종료 후에도 이케부쿠로행 외 유라쿠초선·후쿠토신선 직통 열차가 몇 편 운행된다. 야구 개최 시에는 임시 특급 「돔(Dome)」이 1왕복 운행되는 외에 콘서트 등의 이벤트 개최 시에도 임시 열차나 단체 전용 열차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케부쿠로 발 직통 열차는 대부분이 각역정차 호야행, 준급이나 쾌속은 토코로자와행, 신키바 발 직통 열차는 토코로자와행을 각각 세이부 큐조마에행으로 연장 운행하는 형태로 운행되고 있다.[17] 또한, 평일 나이트의 쾌속 한노행은 세이부 큐조마에행으로 변경하여, 토코로자와 발로 한노행의 구간 열차에 연결한다. 2013년 3월 16일 개정으로 새롭게 도요코선·후쿠토신선에서 모토마치·주카가이 발 쾌속급행 고테사시행이 설정되었다. 이것은 행선지를 세이부 큐조마에행으로 변경한 후에 세이부선 내를 쾌속으로 운전하고, 히바리가오카역에서 동역 시발의 임시 쾌속급행 고테사시행에 연결하고 있다. 2019년 3월 16일2020년 3월 14일의 개정을 걸쳐서 연결역이 변경되었다.

운전될 때에는,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 승객의 편의를 위해, 많은 편이 10량 편성(일부는 8량 편성)의 열차를 사용한다.

2001년12월 15일의 다이어 개정까지 쾌속은 시모야마구치역을 통과하고 있었다.

2001년 12월 15일의 다이어 개정 이전에는 패턴 수송을 하고 있었으나[19], 이후에는 미리 야구 개최 시만 운전하는 임시 열차를 설정하고, 그것으로 대처하고 있었다[20].2010년 3월 6일의 다이어 개정에 의해, 경기 종료 시각에 맞춰 임시 전차를 운전하는 방식이 8년 3개월 만에 부활하게 되어, 이케부쿠로행에 대해서는, 임시 열차로서는 최초의 급행이 운전되었다.

현재에는 임시 열차에는 「경기 종료 시각에 관계없이 운전되는 열차」와 「경기 종료 시각에 맞춰 운전되는 열차」의 2종류가 있다.

토·휴일 주간 경기 개최 중에는, 이케부쿠로선 직통 열차의 일부를 혼카와고에 발착으로 사용하는 신주쿠선 소속 차량의 간격 운행으로 운행하고 있다.

2022년 3월 현재는 혼카와고에역 - 세이부큐조마에역 간 1왕복으로, 각역 정차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세이부신주쿠역 방면에서도 임시 열차를 운행했지만, 2022년 3월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8년 3월 9일까지 토·휴일 나이트 경기에 운행되는 세이부신주쿠역 행 열차는 준급이었지만, 2018년 3월 10일 시간표 개정부터 급행으로 격상되었다[21]

과거에는 세이부신주쿠발 준급 타나시행의 연장 운행이나 쾌속 급행, 카미샤쿠지이행의 각역 정차 운행을 실시했다. 1980년 3월 17일 개정호인 『세이부 시간표』 제2호에 게재된 시간표에 따르면, 카미샤쿠지이행 각역 정차를 포함한 신주쿠선 직통 열차는 모두 시모야마구치역을 통과했다.

2007년 3월 5일 이전에는 세이부신주쿠역 발착이 2왕복 설정되었지만, 다음 날 6일 시간표 개정 이후에는 1왕복이 상기 혼카와고에역 발착 열차로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6일 시간표 개정 이후에는, 경기 종료 시 신주쿠선으로의 직통 열차는 패턴 수송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4. 차량

101계가 기본적으로 투입된다. 야구 경기나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는 10000계, 4000계(단체관광열차인 경우), 신101계·301계, 신2000계, 3000계, 6000계·6050계, 9000계, 20000계, 30000계, 도쿄 메트로 7000계, 도쿄 메트로 10000계도 투입된다.

사용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타사 차량은 야구 개최 시 등 특정일 이외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 자사 차량
  • * 신 101계 - 원맨 운전 대응 차량만 노선 내 회차 운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 * 2000계
  • * 4000계 - 단체 열차만 운행한다.
  • * 6000계
  • * 10000계 - 임시 특급 "돔", 단체 열차만 운행한다.
  • * 001계 - 임시 특급 "돔", 단체 열차만 운행한다.
  • * 20000계
  • * 30000계
  • * 40000계
  • 타사 차량
  • * 도쿄 메트로 10000계 - 원칙적으로 10량 편성만 운행한다.
  • * 도쿄 메트로 17000계 - 원칙적으로 10량 편성만, 8량 편성은 대행 운전 시만 운행한다.
  • * 도큐 5050계 - 원칙적으로 8량 편성만, 10량 편성은 대행 운전 시만 운행한다.
  • * 요코하마 고속철도 Y500계

4. 1. 현재 차량

101계가 기본적으로 투입된다. 야구 경기나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는 10000계, 4000계(단체관광열차인 경우), 신101계·301계, 신2000계, 3000계, 6000계·6050계, 9000계, 20000계, 30000계, 도쿄 메트로 7000계, 도쿄 메트로 10000계도 투입된다.

사용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타사 차량은 야구 개최 시 등 특정일 이외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 자사 차량
  • * 신 101계 - 원맨 운전 대응 차량만 노선 내 회차 운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 * 2000계
  • * 4000계 - 단체 열차만 운행한다.
  • * 6000계
  • * 10000계 - 임시 특급 "돔", 단체 열차만 운행한다.
  • * 001계 - 임시 특급 "돔", 단체 열차만 운행한다.
  • * 20000계
  • * 30000계
  • * 40000계
  • 타사 차량
  • * 도쿄 메트로 10000계 - 원칙적으로 10량 편성만 운행한다.
  • * 도쿄 메트로 17000계 - 원칙적으로 10량 편성만, 8량 편성은 대행 운전 시만 운행한다.
  • * 도큐 5050계 - 원칙적으로 8량 편성만, 10량 편성은 대행 운전 시만 운행한다.
  • * 요코하마 고속철도 Y500계

4. 2. 과거 차량

세이부 사야마선에는 기본적으로 101계가 투입된다. 야구 경기나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는 10000계, 4000계(단체관광열차 한정), 신101계·301계, 신2000계, 3000계, 6000계·6050계, 9000계, 20000계, 30000계, 도쿄 메트로 7000계, 도쿄 메트로 10000계도 투입되었다.

자사 차량으로는 501계 이전의 17m 차량을 제외하고, 501계, 451계, 551계・571계, 601계, 701계・801계, 411계, 구 101계, 301계, 3000계, 5000계(임시 특급 열차 한정), 9000계가 운행되었다.

타사 차량으로는 도쿄 메트로 07계가 고타케무카이하라역 스크린도어 설치로 인해 도자이선으로 전속되면서 운용이 중단되었다. 도쿄 메트로 7000계는 2022년 4월 정기 운행 종료와 함께 사야마선 운용이 종료되었다.

4. 3. 도입 예정 차량

기본적으로 101계가 투입된다. 야구 경기나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는 10000계, 4000계(단체관광열차일 경우), 신101계·301계, 신2000계, 3000계, 6000계·6050계, 9000계, 20000계, 30000계, 도쿄 메트로 7000계, 도쿄 메트로 10000계도 투입된다.

2025년부터는 도쿄 급행 전철에서 도큐 9000계를 서스테나 차량으로 양도받아 본 노선에 도입할 예정이다(세이부에서의 형식은 미정).[22]

5. 역 목록

모든 역은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에 위치해 있다.[2]

보통 : 모든 역에 정차한다.

준급 (SE)

쾌속 (Ra)

급행 (Ex)

특급 (LE) : 이케부쿠로에서 세이부 치치부까지 운행하며, ちちぶ/''치치부''일본어, むさ시/''무사시''일본어라는 열차명으로 운행되며 특급 요금이 별도로 부과된다.

번호일본어거리 (km)SERaExLE환승
니시토코로자와이케부쿠로
SI18니시토코로자와西所沢0.027.2OOO|
18px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SI40시모야마구치下山口1.829.0OOO| 
SI41세이부 구장앞西武球場前4.231.4OOOO
18px
세이부 야마구치선 (레오 라이너)


  • 특급은 프로 야구 개최일이나 각종 이벤트 개최 시에만 운행한다. 준급·쾌속·급행은 각 역에 정차한다.
  • 니시토코로자와역까지의 영업 거리는 이케부쿠로에서 27.2km, 코타케무코하라에서 23.8km, 도코로자와에서 2.4km이다.
  • 선로 (사야마선 내는 전선 단선) … ◇・∨・∧: 열차 교환 가능
  • 역 번호는 2013년 3월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23]
  • 과거에는 쾌속급행도 운행되었지만, 1998년 3월 26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5. 1. 정차역 목록

급특
급접속 노선역간
거리누적
거리소재지SI 18니시토코로자와니시토코로자와/西所沢일본어●│
15px
이케부쿠로 선 (SI 18, 직결 운행)0.0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SI 40시모야마구치시모야마구치/下山口일본어●│1.81.8SI 41세이부 구장앞세이부큐조마에/西武球場前일본어●● 야마구치 선 (SY 03)2.44.2



모든 역은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에 위치한다.[2] 준급은 준급행 정차역이며, 특급은 특급 '돔' 정차역이다. 니시토코로자와 역까지의 영업 거리는 이케부쿠로에서 27.2km, 코타케무코하라에서 23.8km, 도코로자와에서 2.4km이다. 과거에는 쾌속급행도 운행되었지만, 1998년 3월 26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사야마선 내는 전선 단선이며, 열차 교환이 가능하다.[23]

참조

[1]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Neko Publishing 2002-07
[2] 웹사이트 電車・駅のご案内 https://www.seiburai[...] 2020-03-12
[3] 웹사이트 http://www.seibu-gro[...] Seibu Railway 2012-02-23
[4] 서적 寺田裕一『データブック 日本の私鉄』(ネコ・パブリッシング、2002年) p.59
[5] 서적 私鉄車両編成表 -都市私鉄編- '80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80-04-01
[6] PDF 駅の時刻表 西武球場前駅 西所沢方面 https://seibu.ekitan[...] 西武鉄道 2019-03-16
[7] PDF 駅の時刻表 西所沢駅 西武球場前方面 https://seibu.ekitan[...] 西武鉄道 2019-03-16
[8] 문서 2501編成と2503編成が新宿線から転属している。新2000系の4両編成で池袋線所属はこの2編成だけである。
[9] 뉴스 西武狭山線で新2000系2連×2が運用に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0-11-08
[10] 문서 土休日に冬季を除いて運転されていた快速も通年運転に変更の上この直通列車に組み込まれた。この快速は2012年6月30日のダイヤ改正で上り列車が準急に格下げされた後、2013年3月16日のダイヤ改正では下り列車も準急に格下げされている。
[11] 보도자료 2018 年 3 月 10 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seiburai[...] 西武鉄道 2018-01-25
[12] PDF 広報誌『西武鉄道かわら版』2019年7月号 https://www.seiburai[...]
[13] 서적 日本の私鉄109 山と溪谷社
[14] 문서 現行の規定(延長12回制)では2013年9月4日に東京ドームで行なわれた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日本ハム対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ソフトバンクの6時間1分に抜かれるまで、パシフィック・リーグ|パ・リーグ最長試合を約4年間破られなかった。
[15] 웹사이트 2009年7月2日 【公式戦】 試合結果 (埼玉西武vs千葉ロッテ) http://bis.npb.or.jp[...] 日本野球機構
[16] 문서 2008年6月14日から2013年3月15日までは副都心線渋谷駅発着もあった。
[17] 문서 かつては清瀬行きを延長運転する形でも行われていたが、2010年3月6日のダイヤ改正で飯能行きを西武球場前行きに変更するようになったため現在は行われていない。
[18] 문서 8両編成については、土曜・休日デーゲーム開催時の清瀬発(17時37分発)を西武球場前発(17時18分発)に延長することで対処している。
[19] 문서 これは阪神甲子園球場のある阪神本線に倣ったものである。西武グループの球団取得後に、観客輸送のノウハウを阪神電気鉄道|阪神電鉄から学んでいる。
[20] 간행물 輸送と運転 近年の動向 鉄道図書刊行会 2002-04
[21] 웹사이트 2018 年 3 月 10 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seiburai[...] 西武鉄道 2018-04-09
[22] 웹사이트 西武鉄道と東急電鉄・小田急電鉄「サステナ車両(※)」を授受 各社連携してSDGsへの貢献を加速してまいります https://www.seiburai[...] 2024-01-27
[23] 웹사이트 西武線全駅で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www.seibu-gro[...] 西武鉄道 2012-04-25
[24] 웹사이트 ぶらり途中下車の旅 https://www.ntv.co.j[...] 日本テレ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